고석정을 나와 한참을 가다가 도피안사가 있었다.
절 가까이 와서 주차장에 진입하려고 하니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는 구제역을 예방하기 위해서 소독약을 뿌리고 있다.
이번 포천으로 오는 길에 수도 없이 소독약을 덮어 쓴 것 같다.
구제역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애쓰시는 분들에게 미안한 생각이 든다.
주차장에서 내려 도피안사까지 걸어 들어갔다.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神興寺)의 말사이다. 〈사적기 寺蹟記〉에 의하면 당시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조성하여 철원에 있는 안양사(安養寺)에 봉안하기 위해 암소 등에 싣고 운반하는 도중에 불상이 없어져 사방으로 찾아보니 현재의 도피안사 자리에 앉아 있어 865년(신라 경문왕 5)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그 자리에 절을 세우고 불상을 모셨다고 한다. 절의 이름은 철조불상이 피안(彼岸 : 열반의 세계)에 이르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1898년 불탔으나 당시의 주지 월운(月運)이 신도 강대용의 도움을 받아 중건했고, 1914년에는 주지 김의권에 의해서 신축·개수되었으나 6·25전쟁 때 다시 소실되어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의 철조불상과 대좌 및 석탑은 그대로 남아 있다. 그뒤 1959년 이명재 소장이 15사단 장병과 함께 재건했으며, 한 때는 군에서 파견된 군승(軍僧)과 주지 김상기가 관리하고 휴전선 북쪽 민통선 북방에 위치하고 있어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기도 하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유물로는 법당과 요사채,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63호), 3층석탑(보물 제223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