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무섬마을
하윤이가 태어난지 내일이면 100일 된다.
하윤이의 100일 축하를 위해 울진으로 가면서 들른 곳이 영주 무섬마을이다.
무섬마을하면 마을로 들어가는 유일한 통로였던 나무다리가 생각나고 늘 사진으로 담아보고 싶었다.
지난번에 외나무다리가 물 속에 잠겼다고 하여 가지 않았는데, 무섬에 도착하니 염려한대로 물 속에 잠겨 있다. 외나무 다리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지만 조용한 전통 한옥마을의 분위기가 좋아서 며칠 머물고 싶다은 곳이다.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낙동강 줄기에는 강물이 산에 막혀 물돌이동을 만들어 낸 곳이 여럿 있다. 물 위에 떠 있는 섬이라 하여 무섬마을이라 불리는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무섬마을은 이처럼 ‘물 위에 떠 있는 섬’이라 하여 무섬마을이라 불린다. 마을 주변을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과 서천이 휘돌아 흐르는 대표적인 물돌이마을이다.
무섬마을의 역사는 166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반남(潘南) 박씨인 휘(諱) 수가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후 선성(宣城) 김씨가 들어와 박씨 문중과 혼인하면서 오늘날까지 두 집안의 집성촌으로 남아있다.
40여 가구 전통가옥이 지붕을 맞대고 오순도순 마을을 이루는 무섬마을은 수백 년의 역사와 전통이 오롯이 남아있다.
특히 경북 북부지역의 전형적인 양반집 구조인 ‘ㅁ’자형 전통가옥이 늘어서 있는 모습이 장관이다.
반남박씨 입향조인 박수가 마을에 들어와 건립한 만죽재(晩竹齎)를 비롯해 총 9개 가옥이 경북문화재자료 및 경북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역사가 100년이 넘는 가옥도 16채나 남아있어 조상들의 자취와 숨결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마을 내 고택과 정자들이 옛 모습 그대로 보존돼 고풍스런 옛 향취를 풍기고, 30년 전까지 마을과 외부를 이어주던 유일한 통로, 외나무다리가 마을의 대표 상징물로서 역사를 대변하고 있다.
4대강 사업의 일환인 영주댐이 완공되면 마을 앞 금은 빛 모래사장도 점차 사라지고 습지화, 육지화 될 것이다.
안동댐으로 점차 원래의 모습을 잃어가는 안동 하회 마을처럼......
청록파 시인 조지훈의 처가는 영주 수도리 무섬마을이다.
별 리
조지훈
푸른 기와 이끼 낀 지붕 너머로
나즉히 흰 구름은 피었다 지고
두리기둥 난간에 반만 숨은 색시의
초록 저고리 당홍치마 자락에
말 없는 슬픔이 쌓여 오느니
십리라 푸른 강물은 휘돌아 가는데
밟고 간 자취는 바람이 밀어가고
방울소리만 아련히 끊질 듯 끊질 듯 고운 뫼아리
발 돋우고 눈 들어 아득한 연봉(連峰)을 바라보나
이미 어진 선비의 그림자는 없어
자주 고름에 소리 없이 맺히는 이슬방울
이제 임이 가시고 가을이 오면
원앙침(鴛鴦枕) 비인 자리를 무엇으로 가리울꼬
꾀꼬리 노래하던 실버들 가지
꺾어서 채찍 삼고 가옵신 님아
별리는 조지훈 시인이 처가를 떠나는 아쉬움을 나타낸 시라고 한다.
지난번 태풍 때 내린 비로 인해 강물이 많이 불어나 무섬마을의 유일한 통로였던 목조 다리가 물 속에 잠겨 있다.
비가 많이 오지 않았을 때 다리의 모습이다. 다른 분의 사진을 옮겨 온 것이다.
현재 무섬마을로 들어오는 다리의 모습
바람에 살랑이는 코스모스와 상큼하게 높아진 파란 하늘을 보니 가을이 왔음을 느께게 된다.